Digital Asset

새로운 금융자본주의 시대의 투자 전략

thinkflo 2025. 8. 1. 07:20

1. 화폐 제도의 대전환과 부채 구조의 변화

  • 화폐 제도의 전환 배경: 미국의 스테이블 코인 도입은 1879년 금본위제 채택, 1971년 금-달러 불태환 선언과 같은 역사적 전환점에 비견되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과거 화폐 제도의 대전환은 주로 전쟁(미국 남북전쟁,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발생했으며, 현재는 미중 패권 경쟁이 그 배경이 될 수 있다.
  • 부채 구조의 변화:
    • 1차 대전환 (금본위제): 1870년대 금본위제 채택 이후, 정부 부채는 감소하고 민간 부채가 급증했다.
    • 2차 대전환 (금-달러 불태환): 1971년 금-달러 불태환 선언 이후, 정부 부채와 민간 부채가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 3차 대전환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블 코인 법안은 미국 국채를 준비 자산으로 규정하고 있어, 향후 정부 부채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2. 금융자본주의의 변천

  • 금융자본주의 1.0 (대형은행): 1800년대 후반 산업화 시대에 대형 은행들이 대규모 자금을 공급하며 금융자본주의를 주도했다.
  • 금융자본주의 2.0 (사모펀드, 투자은행): 1980년대 금융 규제 완화 이후, 사모펀드와 투자은행이 부채를 활용한 기업 인수합병(LBO)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했다.
  • 금융자본주의 3.0 (인덱스 펀드, 은행): 스테이블 코인 도입 및 금융 규제 완화에 따라, 인덱스 펀드와 은행이 정부 부채에 대한 핵심 수요 주체로 부상하며 새로운 금융자본주의를 이끌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3. 채권 시장 투자 전략

  • 정부 부채 리스크 대응: 정부 부채 증가로 인해 국채 금리가 급등할 우려가 있지만, 정책 당국은 금리를 인위적으로 낮추는 '금융 억압' 정책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 주목할 점: 이로 인해 국채 금리 상승보다는 통화 가치 하락에 더 주목해야 한다. 과거 영국과 일본 사례에서 정부는 부채 위기 시 금리 안정을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자국 통화 가치 하락이 동반되었다.
  • 추천 전략: 달러 외(ex-USD) 채권 비중 확대, 달러화 환헤지, 물가연동국채(TIPS)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

4. 주식 시장 투자 전략

  • 정부 지출 확대 분야: 정부 부채 시대는 곧 정부 지출의 시대이므로, 정부 투자가 확대되는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
  • 미국 시장: FY2026 예산안에서 국방 예산이 대폭 증액됨에 따라 방위산업, 우주, 조선 분야가 유망하다. 또한, 국방부 산하 DARPA의 투자 방향(바이오, 네트워크, 사이버보안, 양자 기술)을 통해 첨단 기술 분야의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한국 시장: 한국 정부 역시 부채 확대를 통해 산업 기술 투자를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 원전, 2차 전지 분야가 주요 정책 수혜주가 될 수 있다.
  • 금융주: 글로벌 금융 규제 완화 트렌드에 맞춰 한국의 자본 시장 구조 개혁이 추진되면서, 장기적 관점에서 금융주(특히 증권)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일본의 밸류업 프로그램처럼 PBR 1배 미만 기업에 대한 개선 요구,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이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